무수히 반복되고 집적된 행위의 과정들로 그대로 화면상의 밀도를 높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단순성과 복합성의 조화, 부분들과 전체의 조화를 완벽하게 표현한다. 기교를 부리지 않고 平談(평담)한 화풍으로 첩첩이 겹쳐진 많은 골짜기의 그리움을 노래하는 박광출작가는 다양한 표현과 텅 비어있는 화면에서 깊숙한 곳에 있는 서정을 이끌어 내며 꽃과 나무의 바람의 소리를 화면에 보이지 않게 꽃의 참뜻과 참 모습을 담아내는 작가이다.
작품 상세설명
꽃 !
박광출작가의 이 작품은 삶의 성찰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박광출작가는 그림속에 단순한 풍경이 아닌 고요함,너그러움,포용력을 간직한
겸허한 자연의 속성을 작가 의식이 투영된, 정적이며 인격적인 공간의 속성을 담아낸다.
자연을 통해 얻는 인간애를 담아보려 했다는 작가의 말처럼
자연의 다양한 모습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자연의 덕성을 통해
삶의 깨달음을 묻고 있다.
사계절을 그대로 지니고 품고 사는 산과 강처럼 성숙한 인간의 삶을
되돌아 보는 그의 작품에선
서정미와 함께 장엄하고도 자연 친화적인 동양적 세계관이 깃들어 있다. - 연우
[ 매화와 달 ]
"매화 꽃이 피어야 봄이 왔음을 안다"라고
아치고절이란 뜻은 아담한 풍치나 높은 절개라는 뜻으로 매화를 이르는 말이다.
매화나무가 아무리 굽고 휘어지고 비틀어 진다해도
매화 꽃이 피면 다른 꽃 들은 고개를 숙인다 했다 라는 매화꽃의
萬里千香 꽃 향기와 절개 ,지조를 그 누가 따르랴
옛 선비의 고고한 품성을 닮고자 집안에 두고 매화 그림으로 함께 한다.
위 작품은 아담한 풍치나 높은 절개라는 뜻으로(아치고절) 매화를 이르는 말로서
유화의 깊고 그윽한 맛과 함께 유화만을 이용한 두터운 질감이
紅매화의 단아하고도 고절한 느낌을 잘 표현한 수작중의 수작입니다
조선시대 24대 헌종 6(1840)년 겨울에,
안 민영이 지은 시조.
그의 스승 박효관을 찾아 몇몇 이름난 妓女와 더불어
노래와 거문고로 하룻밤을 지낼 때에
박 효관이 손수 가꾼 매화꽃을 보고
8수(首)의 연작 시조를 읊었다 함
무수히 반복되고 집적된 행위의 과정들로 그대로 화면상의 밀도를
높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단순성과 복합성의 조화, 부분들과
전체의 조화를 완벽하게 표현한다.
기교를 부리지 않고 平談(평담)한 화풍으로
첩첩이 겹쳐진 많은 골짜기의 그리움을 노래하는
박광출작가는 다양한 표현과 텅 비어있는 화면에서
깊숙한 곳에 있는 서정을 이끌어 내며
꽃과 나무의 바람의 소리를
화면에 보이지 않게 꽃의 참뜻과 참 모습을 담아내는 작가이다. - 연우